탄소 중립은 한 나라만 잘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에요. 대기 중의 탄소는 국경을 넘어 이동하니까, 어느 한쪽이 줄이고 다른 한쪽이 계속 배출하면 지구 전체의 균형이 깨집니다. 그래서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에요. 지금 전 세계가 그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
가장 기본적인 틀은 국제 협약이에요. 파리협정이 대표적이죠. 각 나라가 스스로 감축 목표(NDC)를 정하고, 정기적으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구조입니다. 강제력은 약하지만, 전 세계가 같은 목표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출발선이에요. 이런 협약이 없다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책임 분담을 조정할 근거가 없어지거든요.
둘째는 기술 협력이에요. 탈탄소 기술은 비용이 많이 들고, 특히 개발도상국은 자체적으로 이런 기술을 개발하거나 도입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선진국이 기술을 이전하거나,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소 생산, 탄소 포집, 재생에너지 저장 기술 같은 분야에서 국제 컨소시엄이 활발히 구성되고 있어요.
셋째는 기후금융이에요. 탄소를 줄이려면 인프라 투자, 재생에너지 확대, 산업 구조 개편이 필요한데, 이건 엄청난 돈이 들어요. 그래서 선진국이 ‘기후기금’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전환을 돕는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녹색기후기금(GCF) 같은 국제기구가 그 역할을 맡고 있죠.
넷째는 국제 탄소시장 제도예요. 한 나라가 감축한 탄소량을 다른 나라가 일정 조건하에 구매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이에요. 이렇게 하면 탄소 감축 비용이 낮은 나라에서 먼저 줄이고, 비용이 높은 나라가 그 노력을 사는 방식으로 전 세계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투명한 측정과 검증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신뢰를 얻을 수 있죠.
또 하나 중요한 건 에너지 공급망 협력이에요. 태양광 패널, 배터리, 수소 같은 청정에너지 자원의 생산과 공급이 특정 국가에 집중되면, 새롭게 ‘에너지 종속’이 생길 수 있거든요. 그래서 각국이 기술 표준을 공유하고,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합니다.
마지막으로 시민사회와 기업의 참여가 빠질 수 없어요. 각국 정부가 협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기업이나 국제 NGO들이 주도하는 민간 협력의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예컨대 다국적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탄소 감축 연합(RE100, SBTi 등)에 참여하면서 기술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전 세계 공급망 차원에서 탈탄소를 추진하고 있어요.
결국 국제 협력의 핵심은 “공동의 목표와 차별화된 책임”이에요. 모든 나라가 같은 속도로 움직일 수는 없지만, 같은 방향을 보고 가야 한다는 합의는 필요합니다. 기술, 금융, 정책, 그리고 사회적 연대가 한꺼번에 엮일 때 비로소 탄소 중립은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