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우 구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코스 상황이나 조건은 어떤 경우인가요?


드로우 구질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휘는 페이드와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감기듯 휘는 구질입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공이 살짝 오른쪽으로 출발해서 왼쪽으로 돌아 들어오는 형태죠. 이 드로우를 의도적으로 구사하는 게 유리한 코스 상황은 생각보다 꽤 자주 등장합니다

첫 번째는 도그렉 좌측 코스입니다. 티잉 에어리어에서 출발할 때, 페어웨이가 왼쪽으로 꺾여 있는 구조라면 드로우 구질이 가장 안정적인 선택이 됩니다. 오른쪽으로 갔다가 왼쪽으로 휘면서 꺾이는 페어웨이를 따라가면, 거리도 더 확보되고 공이 나무나 러프에 걸릴 위험도 줄어드는 거죠. 이때 슬라이스가 나면 오히려 나무나 벙커 쪽으로 빠지기 쉬워서, 드로우를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이 굉장히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두 번째는 바람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부는 경우입니다. 이럴 땐 드로우 구질이 바람을 활용하면서 더 자연스럽게 날아갑니다. 맞바람보다는 횡풍이 있을 때 구질의 방향과 바람 방향이 같으면 공의 비행이 더 안정적으로 나옵니다. 반대로 페이드나 슬라이스가 나오면 바람에 밀려서 코스를 벗어날 확률이 높아지죠

세 번째는 런이 많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드로우 구질은 일반적으로 낮은 탄도와 빠른 스핀으로 인해 지면에 닿은 후에 굴러가는 런이 길게 나옵니다. 특히 마른 페어웨이에서 드라이버 티샷을 칠 때 드로우가 잘 걸리면 캐리와 런을 합쳐서 상당한 거리를 낼 수 있습니다. 비거리를 극대화하고 싶은 상황, 예를 들어 파5에서 투온을 노리는 2번째 샷 전용 티샷에도 유용합니다

반대로 러프나 벙커를 피해야 하는 타이트한 상황에서는 드로우보다 페이드가 유리할 수 있는데요. 드로우는 회전량이 많고 좌우로 휘는 폭도 커서, 의도한 대로 컨트롤하지 못하면 오히려 훅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그린 주변 정교한 샷보다는 티샷이나 롱아이언, 유틸리티 쪽에서 드로우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결국 드로우는 도그렉 좌측, 오른쪽에서 부는 바람, 런이 필요한 마른 페어웨이, 비거리 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굉장히 유용한 구질이고, 방향 컨트롤과 구질 이해가 잘 맞아야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