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아보하’라는 말, 익숙하게 들리기 시작하셨을 거예요. ‘아무것도 보지 않고, 하지도 않는다’의 줄임말인데요. 처음엔 좀 웃기다고 생각했는데, 가만 보면 이 말 안에 우리가 놓치고 있던 힌트가 하나 숨어있어요. 쉬는 법이요.
현대인들은 항상 뭔가를 보고 있어요. 스마트폰, 뉴스, 유튜브, 업무 메일, 회의록… 눈이 쉴 틈이 없고, 손도 머리도 계속 돌아가죠. 그렇게 하루를 채우고 집에 돌아오면 몸은 늘어졌는데 이상하게 머릿속은 더 복잡해져 있어요. 뇌가 쉴 시간을 못 가졌기 때문일지도 몰라요.
아보하는 이 흐름을 끊는 거예요. 일부러 멍하게 있는 시간을 만드는 거죠. 정말 아무것도 안 하고, 안 보면서. 이게 처음엔 어색하고 불안해요. 뭔가 해야 할 것 같고, 이 시간에 낭비되는 느낌도 들고요. 그런데 하루에 10분만 그렇게 해보면 진짜로 뇌가 한숨 돌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정신 건강 전문가들 얘기로는 자극을 끊는 시간이 뇌의 복잡한 회로를 정리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해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라고 하는 뇌 활동이 이런 멍한 시간에 작동하는데, 이게 감정 정리, 기억 정리, 창의성에도 영향을 준대요. 쉽게 말해, 쉬는 시간에 뇌가 백업도 하고 청소도 하는 셈이죠.
그리고 이게 단순한 ‘쉼’이랑은 또 달라요. 뭘 보면서 쉬는 것도 결국은 자극이니까요. ‘넷플릭스 보면서 쉰다’는 것도 엄밀히 말하면 쉼이 아니에요. 진짜로 아무것도 안 해야 해요. 눈도 귀도 손도 가만히. 그러면 처음엔 지루한데, 나중엔 그 시간이 기다려져요. 자기가 자기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이랄까. 마음의 속도가 다시 맞춰지는 기분이 들거든요.
요즘 특히나 불안감이 많고, 이유 없이 마음이 뒤숭숭한 분들이 많잖아요. SNS는 남 비교하게 만들고, 뉴스는 불안하고, 일은 계속 밀려오고요. 그럴 때 아보하 같은 의도적인 비움이 꽤 큰 도움이 돼요. 비워야 채워진다는 말, 예전엔 뻔한 말 같았는데 해보니까 진짜더라고요.
뭔가 대단한 걸 하려고 하지 않아도 돼요. 그냥 10분, 아무것도 안 보고, 안 하고, 가만히. 오늘 한번 해보세요. 별거 아닌 것 같은데, 생각보다 머리가 맑아질지도 몰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