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알부민 수치를 높이기 위해선 단순히 고단백 음식만 챙겨 먹는 걸로는 부족합니다. 먹는 것, 생활습관, 몸의 흡수 상태까지 같이 봐야 의미가 있어요.
식단에서는 우선 양질의 단백질이 들어간 음식을 자주 먹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닭가슴살, 생선, 달걀, 두부, 유제품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에요. 식사마다 한두 가지 단백질 공급원이 들어가도록 챙기면 좋고, 식욕이 떨어졌다면 죽이나 스무디에 단백질 파우더를 타 먹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단백질을 아무리 많이 먹어도 몸에서 그걸 에너지로 다 써버리면 알부민으로 돌릴 여유가 없어요. 그래서 단백질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칼로리 섭취도 충분해야 합니다. 고구마, 밥, 바나나, 견과류처럼 소화 잘되고 칼로리도 있는 음식들을 같이 곁들이는 게 좋아요.
흡수 문제도 생각해야 해요. 위장이나 장이 안 좋거나 설사가 자주 있는 사람은 아무리 잘 챙겨 먹어도 몸에서 흡수 못하고 다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어요. 이런 분들은 우선 위장 상태부터 안정시켜야 알부민이 올라갈 수 있어요.
비타민과 미네랄도 중요합니다. 특히 비타민 A, B6, B12, 아연, 철분, 비타민 D 같은 것들은 간 기능을 도와주거나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기 때문에 부족하지 않게 챙겨야 해요. 매일 챙기기 어렵다면 종합비타민 한 알로라도 보충하는 게 낫습니다.
생활습관에서는 간 건강을 지키는 게 핵심이에요. 술은 줄이고,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고, 스트레스도 가능한 덜 받는 쪽으로 조절해야 해요. 수면이 부족하면 회복도 느려지고 호르몬 밸런스도 흐트러져서 알부민 합성이 줄 수 있어요.
운동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하는 게 좋아요. 꾸준히 산책하고, 가볍게 근력운동도 해주면 근육량 유지에 도움이 되고, 단백질 대사도 좀 더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요.
하루 이틀로 되는 건 아니고, 몇 주 이상 꾸준히 관리해야 점점 올라가요. 초반엔 체중 유지가 안 되거나 수치가 오르지 않아도 중간에 포기하지 않는 게 중요하고요.